임신성 당뇨

임신성 당뇨병 선별검사는 간단한 산전 검사이지만, 검사 결과를 토대로 이후 산전 진찰에 관리에 변화가 생길 수 있어 대부분의 임신부들이 긴장하는 검사입니다. 문제는 아기의 엄마, 아빠에게 당뇨병 가족력이 없더라도 당뇨병이 발병할 수 있다는 부분인데요.
임신부에게 나타나는 당뇨병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임신 전부터 앓고 있었던 ‘현성 당뇨병’과 임신 중 처음 진단된 ‘임신성 당뇨병’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임신을 하면 태아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에 의해 인슐린 저항성이 생깁니다. 정상 임신부에서는 인슐린 저항성을 극복하기 위해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가 증가되지만, 임신성 당뇨병에 걸린 경우에는 인슐린 분비가 충분하지 않습니다.

임신성 당뇨병 선별검사는 임신 24-28주에 금식과 상관없이 포도당 50g을 복용하고 1시간 후에 혈액을 채취해 진행됩니다. 이 때 혈당 수치가 140 mg/dl 이상이 나오면 2차적으로 당뇨병 확진검사를 실시합니다.
당뇨병 확진검사는 1) 공복 시 1회, 포도당 10g 복용 후 2) 1시간 후, 3) 2시간 후, 4) 3시간 후 총 4회의 혈액검사로 이루어집니다. 각각 1)95mg/dl, 2)180mg/dl, 3)155mg/dl, 4)140mg/dl 4개의 기준치에서 2회 이상 혈당이 높게 측정되면 '임신성 당뇨병'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임신성 당뇨병'은 '현성 당뇨병'처럼 기형아 출산의 위험도는 높지 않으나 혈당 관리가 잘 되지 않으면 신생아 출생체중 4.5kg이상의 거대아를 출산하거나, 신생아 저혈당, 신생아 황달, 신생아 호흡 곤란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태아가 자궁 내에서 사망에 이를 가능성도 있습니다.

엄마의 높은 혈당은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거대아를 출산하게 되는 것이죠. 신생아 저혈당은 무호흡, 떨림, 청색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 신생아의 신경학적 후유증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신생아 황달 역시 모든 신생아가 겪을 수 있는 증상이지만 임신성 당뇨병에서 더 많이 나타납니다.
이 밖에 임신성 당뇨병 임산부는 양수과다증, 견갑난산(*태아의 머리는 나왔으나 어깨가 산모의 골반 내에 걸려 더 이상 분만이 진행되지 못하는 경우), 분만손상, 제왕절개를 겪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구분 정상 목표 범위
공복
혈당
60~90 mg/dl < 90mg/dl < 95mg/dl
식후
1시간
혈당
< 120mg/dl < 120mg/dl < 140mg/dl
식후
2시간
혈당
< 120mg/dl < 120mg/dl < 120mg/dl

임신성 당뇨병의 우선적인 치료 목표는 정상 범위의 혈당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자가혈당 측정을 통해 혈당을 조절해야 하는데 정상적인 혈당은 식전 60~90mg/dl이고 식후 2시간까지는 120mg/dl 이하 입니다. 아침 일어났을 때, 아침/점심/저녁 식후 2시간, 잠자기 전에 혈당을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당화 혈색소'는 지난 6~8주의 평균 혈당치를 반영하는 검사로 임신 중에는 4주 간격으로 측정합니다. 임신성 당뇨의 치료는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먼저 시작하는데 적절한 식이, 운동 요법 후에도 공복혈당이 95mg/dl, 식후 2시간 혈당이 120mg/dl 이상 일 때 인슐린 투여를 고려합니다.

임신성 당뇨병 환자는 매일 6가지 식품군을 골고루 먹고 매일 3회의 정규 식사와 2~3회의 간식(과일, 유제품) 및 1회의 야식을 규칙적으로 함으로써 적당한 칼로리를 섭취합니다. 빵과 같은 밀가루 음식, 믹스커피 같은 단당류의 섭취는 피하고 식이섬유소는 식후 혈당반응을 지연시켜 혈당조절에 도움을 주는 식이섬유소를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나치게 짠 음식은 피합니다.
사탕, 꿀, 잼, 설탕, 케익, 도넛, 젤리, 초콜릿, 엿, 과일 통조림, 가당 요구르트 및 요플레, 탄산음료(사이다, 콜라), 아이스크림, 술 등 단맛이 강한 외식 메뉴(양념, 떡볶이, 짜장 등)의 음식은 먹지 말아야 합니다.
기름기를 걷어낸 맑은 고기국, 채소국, 설탕이나 꿀을 넣지 않은 차류, 열량을 내지 않는 양념류: 식초, 고추, 후추, 겨자, 와사비, 레몬, 파, 마늘, 생강 등 의 열량이 적은 채소류, 열량이 없으면서 포만감을 주는 곤약, 우무, 천사채는 자유롭게 먹을 수 있습니다.

임신성 당뇨병 임신부의 태아 기형 위험도는 일반 임신부와 비슷하나 '현성 당뇨병'이 있는 경우에는 태아 기형의 위험도가 높습니다. 적절하게 혈당 조절을 하면 태아 기형의 위험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주요 태아 기형으로는 중추신경계 이상, 심장기형, 항문직장폐쇄, 신장기형 등이 있으며 염색체 이상 질환의 발생 가능성은 증가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