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속성 임신성 융모성 종양 질환
-
임신성 융모성 질환 중에 일부는 일차 치료에 저상성을 보이며, 융모 조직이 계속해서 증식해 ‘지속성 임신성 융모성 종양’으로 발전합니다. 지속성 임신성 융모성 종양 악성 종양에 해당되며 항암화학요법의 대상이 됩니다. 전이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흉부 및 복부, 골반 그리고 두부에 대해서 다양한 영상 검사(CT, MRI, PET)를 실시합니다. 특수한 경우 복부 및 골반 장기에 대한 선택적 혈관조영술을 실시합니다. 융모성상피암 환자와 전이성 병변을 가진 경우에 뇌종양의 발견을 위해서 뇌척수액의 hCG를 측정합니다.
지속성 임신성 융모성 종양 치료 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고 필요 시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추가합니다. 항암화학요법은 처음에는 단독으로 시작하나 치료 성적이 좋지 않을 때는 복합요법으로 시행합니다. 이 질환은 항암 화학요법 치료 성적이 우수하기 때문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항암 화학요법을 실시하면 뛰어난 성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전자궁적출술이나 전이된 부위를 제거하는 수술을 할 수 있고, 전이된 경우 방사선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항암화학치료는 b-hCG 값이 정상이 된 후에도 최소 2차례 시행합니다. 12개월에서 24개월 동안 추적검사한 후에 완치 판정을 내립니다.
병기 |
종양의 진행 정도 |
1기 |
자궁내에 국한된 경우 |
2기 |
자궁을 벗어나 골반이나 질로 전이된 경우 |
3기 |
폐로 전이된 경우 |
4기 |
폐 이외의 장기로 전이된 경우 |